몰입
몰입 방법
- 일단 시작,
- 재미있어야 하는 게 아니고요,
재미없다는 사실만 잊어버리시면 돼요.
비호감이라는 것만 계속 “몰라!”하시면서 또 하세요.
또 하시고 하다 보면 이제 습관화가 되면, 뇌도 거기에 최적화가 되다 보니까
오늘 하는 일은 내일 하기가 좀 쉬워져요. 좀 쉬워져요.
재미없단 생각만 안 하시면 재미있는 거예요.
재미없단 생각만 하지 마시고, 재미없단 생각만 “몰라!”하세요.
몰입
[출처] https://stickie.tistory.com/8
- 물이 끓기 전 99도의 상태를 집중이라고 한다면, 물이 끓기 시작하는 100도는 몰입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좋아하는 일에는 쉽게 '몰입' 할 수 있지만, '집중' 에는 '조절' 이라는 정서가 기본적으로 깔려 있다.
- 일본의 심리교육 컨설팅 사쿠라이 카츠히코 대표는 집중에 대해 '불필요한 언어적 사고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 라고 말합니다. 그는 '무언가에 집중하고 있을 때 뇌는 알파파가 나오거나 도파민이 분비되지만, 심리적으로는 어떤 언어적 사고도 존재하지 않고 작업이나 행위에 몰두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라고 설명했습니다.
- 심리학용어사전에서 '집중'은 '특정한 과제 혹은 활동에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주의를 주는 것. 좀 더 전문적으로는 '지속적 주의' 라고 정의합니다. 사전적 정의에서 '연속적으로 주의를 주는 것' 이라 하였는데, 이는 자신의 의지를 바탕으로 의식적으로 한 가지 일에 모든 힘을 쏟는 것을 의미합니다.
- 몰입은 주위의 모든 잡념, 방해물들을 차단하고 원하는 어느 한 곳에 자신의 모든 정신을 집중하는 일입니다. 몰입하는 사람의 심리 상태는 에너지가 쏠리고, 완전히 참가해서 활동을 즐기는 상태입니다. 본질적으로, 몰입은 한가지에 완전히 흡수 되는것, 무의식적으로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집중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칙센트 미하이는 "몰입은 의식이 경험으로 꽉 차 있는 상태이다. 이때 각각의 경험은 서로 조화를 이룬다. 느끼는 것, 바라는 것, 생각하는 것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모든 것이 하나로 어우러질 때 비로소 완전한 몰입을 경험하게 됩니다.
- 몰입 상태에서는 행위와 인식의 융합이 일어납니다. 현재 하고 있는 활동에 푹 빠져 그 활동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인식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아 의식도 사라져 흔히 이러한 상태를 '무아지경' 또는 '몰아지경' 이라고 부릅니다. 자아는 완전히 기능하지만 스스로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 몰입 상태에서는 자기와 환경의 구분이 거의 사라질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도 망각됩니다.
- 몰입 상태에서는 현재 하고 있는 활동을 장악하고 있는 듯한 강력한 통제감을 느낍니다.
- 몰입 경험은 그 자체가 즐거운 것으로서 자기 충족적인 속성을 가집니다.
- 몰입은 언제 잘 일어나는가?
첫째, 분명한 목표가 있는 활동에서 몰입이 잘 일어납니다. 현재 하고 있는 일의 목표가 모호하거나 장기적일 때에는 몰입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너무 거창하고 원대한 목표보다는 그것을 이루기 위한 단기적 목표가 분명할 때 몰입이 쉬워집니다.
둘째, 즉각적인 피드백이 주어지는 활동에서 몰입이 잘 일어납니다. 스포츠나 전자오락을 할 때 쉽게 몰입하는 이유는 추구해야 할 분명한 목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매 순간 즉각적인 피드백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즉각적인 피드백은 목표 달성을 위해 현재 자신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셋째, 몰입 상태를 촉발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기술 수준과 과제의 난이도가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분명한 목표와 즉각적인 피드백이 주어지더라도 너무 쉬운 과제는 몰입하기 어렵고 너무 어려운 과제는 흥미를 잃게 하거나 포기하게 만들기 쉽습니다. 따라서 상당한 기술을 요구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할 때 몰입을 경험하기 쉽습니다.
몰입 방법
[출처]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161
- 뇌과학에서는 집중을 이렇게 설명한다. '인간의 뇌는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며, 이러한 선택적 신호 처리를 주의집중(attention)이라 한다.'
- 주의집중력이란 학습과 관련해서 신중함이나 사려 깊음을 포함하여 자신의 마음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어떤 활동을 하면서 주의 산만 요인을 무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의 김이준 박사는 "어떤 물체에 주의를 기울이면 그 물체는 더 눈에 띄고 더 밝아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고, 반대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무엇을 봤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흐릿한 영상만 남는다"고 말했다. 결국 같은 자극이지만 주의를 기울이면 더 많은 신경세포들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더 강한 자극을 받은 것처럼 뇌에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 인간의 뇌는 한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극히 소수의 중요한 자극만이 선택되어서 뇌에서 처리된다는 정보선택 과정을 "주의 attention"이라고 정의한다.
- 주의(attention) 4가지
1) 각성 alertness
가장 기본적인 유형이 각성이며 피곤하거나 졸때는 각성수준이 낮아져 주의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2) 지속적 주의(sustained attention)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인 각성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지속적 주의는 중간에 쉬지 않고 어떤 일을 해야 할 때 중요한데 3시간 연속해서 강의들을 때나 장시간 운전할 때 중요하다.
3)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이 정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선택적 주의가 필요하다. 선택적 주의는 우리가 우리 앞에 놓여있는 많은 정보들 중에서 지금 이순간에 해야하는 일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인지적 작용이다.
4) 자원적 주의(resources attention)
자원적 주의는 주의를 일종의 제한된 용량을 가진 자원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자원은 여러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할 때 각각의 일에 필요한 만큼 주의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뇌는 한정된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두가지 일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각각의 일에 일정 양의 주의를 할당하게 되기 때문이다.
- 문제는 정말 효율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전세계 인구 중 단 2% 밖에 되지 않는다. MIT의 교수 얼 밀러(Earl Miller)는 멀티태스킹에 대해 "어느 한가지 일에도 집중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일과 일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것 "이라고 했다. 또한 멀티태스킹은 집중력과 학습능력을 저해시키고 최악의 경우에는 뇌에 영구적인 손상까지 입힐 수 있다.
- 캘리포니아-어바인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의 글로리아 마크(Gloria Mark) 교수는 멀티태스킹이 정신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어떤 일에 몰두하고 있는 사람이 방해를 받는다면, 다시 그 일에 돌아와 집중하는 데에만 23분 15초가 걸리는데 이 경험이 반복되면 될 수록 우리의 뇌는 지속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 이러한 스트레스가 지속되다 보면 우리의 뇌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영국 서섹스 대학(University of Sussex)의 연구진들은 멀티태스커들의 뇌와 그렇지 않았던 사람들의 뇌를 각각 MRI로 스캔하여 뇌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했는데 멀티태스커들의 뇌의 전대상 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 – 감정, 공감능력과 같은 사고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부분)의 밀도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영국의 런던대학교에서 멀티태스킹과 학습능력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특정 실험자가 주의력을 요구하는 일들(cognitive tasks)을 한 번에 한 가지 이상 실행할 때 그의 아이큐 지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있었다고도 한다.
- 집중을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 뇌 과학자 테리 도일(Terry J. Doyle) 미시간 펠리스주립대 교수는 "인간의 뇌는 움직임에 최적화되면서 진화해왔다"고 한다. 앉아있는 것 보다 움직이는 것이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고 인간은 움직이며 생존해왔다는 것이다. 걷거나 가벼운 운동기구를 이용해 학습하면 우리 뇌는 자극을 받으며 학습능력이 높아진다고 한다.
- 뇌는 감정적입니다. 주의를 집중한다는 것은 매우 감정적인 행위이기 때문에 학습에는 주의를 집중하고 거기에 감정을 싣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뇌에 미치는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당한 유산소 운동과 글루코스(glucose)와 같은 당류(포도당)를 아침에 섭취하며 잠은 최소한 7시간 이상 자는 것이 좋다.
- 인간의 두뇌는 기억을 저장하기 위해 계속 우선 순위를 정하는 버릇이 있는데 뇌는 끊임없이 '선택과 집중'을 한다. 우리의 뇌가 집중을 할 때는 세가지 이유에서 비롯되는데요 '나와 연관성이 있는지', '중요한 일인지', '내가 관심 있는 일' 인 경우이다.
- 걷고 움직일 때 인간의 뇌는 자극을 받고 학습능력을 증진시킨다. 특히 유산소 운동을 해야 두뇌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학습을 돕게 되는 것이다.
- 뇌가 좋아하는 4가지 학습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감이 동원될 때 학습능력이 증진된다. 감각은 두뇌 안에 기억의 경로를 구축하는데, 청각, 시각, 후각, 촉각이 모두 필요하지만 인간이 진화를 통해 가장 강화된 능력은 바로 청각이다. 예를들면 박자와 리듬이 일정한 바로크 음악을 들으며 공부하면 집중이 잘 되는 이유다
둘째, 뇌는 패턴화를 좋아한다. 뇌는 패턴을 찾지 못하면 잘 기억하지 못한다. 기억을 잘 저장하기 위해서는 학습을 패턴화 시켜야 한다. 테리 도일 교수는 "'덩어리' 짓기"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한 덩어리, 그룹으로 정해 범주화해서 카테고리를 만들어 정리하면 쉽고 기억하기도 쉽다. 배운 내용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다시 정리해서 패턴화 하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된다.
셋째, 어떤 것을 공부할 때 시간을 두고 봐야 한다. 이런 방식을 스페이스 학습법이라고 하는데 우리의 뇌가 매일 밤 잠들기 전 버릴 기억이 무엇인지 결정할 때 우리의 뇌는 배운 내용을 글로 써보고 말하고 가르치며 인터렉티브하게 배운 내용만을 저장한다. 한 번도 사용 안한 기억은 필요 없다고 판단하고 가차 없이 버려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 자신이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지지 않아야 한다. 고정된 마인드셋(Fixed Mindset)'을 가진 학생은 선입관을 가지고 있어 능력이 형성이 안되고 뇌에 나쁜 암시를 줄 수 있다. "나는 할 수 없어" "공부해도 성적이 안 오를 꺼야" 이런 것이다. 지능은 지속적으로 성장한다. 학습자의 고정된 마인드셋에 걸리면 성장할 수 없다.
[출처] https://brunch.co.kr/@jungminseo/2
- 자신이 이 일 수준을 넘어선 위대한 일을 할, 위대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자신의 정체성을 최대한 연관되는 좋아하는 것으로 바꾼다.
- 일을 하는 도중에 자신이 좋아하는 부분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그것을 극대화시킨다.
- 자신의 목표와 어떻게든 연관 짓는다.
- 배운건 평생 쪽팔린 건 한순간